일반의약품

#항공성중이염 비행기 이착륙시 귀가 아프고 멍멍한 원인과 치료 및 예방방법

WONIPHARMACY 판교원이약국 2025. 1. 30. 11:00

 

원인: 기압 변화와 귀의 구조

 

  1. 기압 변화
  • 비행기가 이륙하거나 착륙할 때 고도 변화에 따라 주변 공기 압력이 급격히 변합니다.
  • 귀 안의 중이 공간은 고막과 이소골(청소골)이 있는 곳으로, 외부와 연결된 유스타키오관(Eustachian tube)을 통해 압력을 조절합니다.
  • 유스타키오관의 역할: 중이와 인후를 연결해, 중이 내부의 압력을 외부 기압과 같게 유지함.

 

2. 압력 불균형

  • 기압이 급격히 변할 경우, 유스타키오관이 제대로 열리지 않으면 중이 내부의 공기 압력이 외부 기압과 달라집니다.
  • 이로 인해 고막이 안쪽(압력 낮음) 또는 바깥쪽(압력 높음)으로 팽창하거나 수축해 귀의 통증을 유발합니다.

 

3. 유스타키오관 기능 저하

  • 감기, 알레르기, 부비동염, 중이염 등으로 인해 유스타키오관이 막혀 있을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.
  • 특히 어린이는 유스타키오관이 짧고 좁아 더욱 취약합니다.

 

증상

  • 귀의 압박감, 통증, 또는 막힌 느낌.
  • 청력 감소 또는 귀가 멍멍한 느낌.
  • 심한 경우, 귀에서 딸깍거리는 소리 또는 중이염으로 이어질 수 있음.
  • 드물게 고막 손상(파열) 발생 가능.

치료 및 예방 방법

 

1. 즉각적인 완화 방법

 

  • 삼키기

침을 삼키거나 껌을 씹으면 유스타키오관이 열려 압력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.

 

  • 하품

하품을 하면 유스타키오관이 열려 귀의 압력 불균형이 해소될 수 있습니다.

 

  • 발살바법(Valsalva Maneuver)

코를 막고 입을 닫은 채 천천히 공기를 내뱉습니다. 이 방법은 중이와 외부 기압의 균형을 맞추는 데 효과적입니다.

단, 너무 강한 힘으로 하면 고막 손상 위험이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.

 

  • 토인비법(Toynbee Maneuver)

코를 막고 물을 삼키는 방법으로, 유스타키오관을 열어줍니다.

 

2. 약물 사용

  • 충혈 완화제(Decongestants)

코막힘이나 유스타키오관 부종이 있을 경우 도움이 됩니다.

예: 슈도에페드린(Pseudoephedrine) 성분의 약물.

 

  • 항히스타민제

알레르기로 인해 유스타키오관이 막힌 경우 사용합니다.

 

  • 진통제

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진통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3. 예방 방법

 

  • 비행 전

이륙 및 착륙 30분 전에 충혈 완화제를 사용하면 유스타키오관의 부종을 줄여 통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

 

  • 비행 중

껌을 씹거나 하품을 하여 유스타키오관을 자주 열어줍니다.

이착륙 시 젖병을 물리거나 젖꼭지를 사용하는 것이 아이들에게 효과적입니다.

 

  • 수분 섭취

물을 자주 마셔 삼키는 행동을 유도합니다.

 

  • 귀마개 사용

기압 조절 귀마개(예: EarPlanes)를 사용하면 압력 변화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4. 제가 추천하는 약

 

충혈완화제 + 항히스타민제 + 진통제 = 코감기약!

다만, 코감기약에는 아세트아미노펜이 포함되어 있어 비행 중 음주가 불가능하므로 대체방법은

 

충혈완화제 + 항스타민제 = 알러지성비염약

+ 덱시부프로펜 or 나프록센 진통제!

 

그리고 귀쪽의 혈액순환을 최대화 하기 위해

은행염추출물 + 아르기닌5000mg으로 혈액순환을 최대화!

 

개인적으로 비행기 이륙 및 착륙시에 통증이 너무너무 심해

항상 알러지성비염약, 타나솔, 라라올라, 덱시부프로펜을 가지고 비행기를 타고,

이륙 20분 전쯤 복용 후 , 기내식과 술을 함께 먹고 푹 자는 루틴이 있어요.

비행시간이 4시간이 넘는 경우, 착륙 30분 전 쯤 약을 한번 더 복용합니다.

 

이전에는 못참을 정도로 아팠다면, 약을 복용한 후에는 참을 정도로 아파서

완화효과가 아주 뛰어나다고 생각합니다.